자막없이 영상을 만들다보니 대상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영상 속 대상을 포인트로 잡아 소개하고 싶었는데, Titles 중에 Call Out 기능이 내 의도와 맞아떨어져서 이 기능을 활용해보고 싶었다. 그런데 타이틀에 있는 Call Out을 영상 움직임에 따라 포인트 동선도 노가다로 하나하나 키프레임을 걸자니 한계(귀찮음)가 느껴졌다ㅜ,.ㅠ 그리하여 알게된(찾아보게 된) 다빈치리졸브의 추적(Tracker) 기능. (진작 찾아보지=_=) 다빈치리졸브(DaVinci Resolve) 추적(Tracker) 기능 사용하기 1. CallOut 넣을 클립을 자른다. 2. Fusion > Shift+Ctrl+Space bar > Tracker 찾는다. 3. Nodes에서 Tracker 위치 세팅..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화면이 흔들리면 내 눈도 흔들려요~ 멀미나요, 멀미~~다빈치리졸브에서 흔들리는 영상 안정화 시켜보자! 다빈치 리졸브 안정화 기능 사용하기(Stabilization)기능 : Video > Stabilization Mode 설명1) Perspective - 원근모드- 좌/우/위/아래 안정화- 원근, 확대,축소 및 회전 안정화 2) Similarity - 유사모드- 좌/우/위/아래 안정화- 확대,축소 및 회전 안정화- 원근X 3) Translation - 해석모드- 좌/우 안정화 4) Camera Lock - 카메라 고정- 포커스를 중심으로 카메라를 고정한 것 처럼 흔들림은 최소화되지만 흔들린 여백만큼 확대가 되기때문에 많이 흔들린 영상의 경우 영상이 많이 잘려나갈 수 있다. 5) Z..
영상이 길어지다보니 자연스레 영상에 쓰이는 음악도 잘라서 더 길게 만들기도하고, 다른 음악을 넣는 일도 잦아졌다.하지만 이렇게되면 발생되는 문제가 하나 있었으니!음원별로 불륨 레벨에 차이가 생긴다는 점이었다. 이렇게 되면 발생되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하나. 한 영상에 업로드 되는 음원마다 불륨 차이가 생기게 되고두울. 업로드 된 영상물이 유튜브에서 권장하는 소리보다 작다면 다른 영상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 작은 볼륨으로 재생될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내린 결론은 영상 볼륨 레벨를 일치시켜주자! 는 것이었다. (뭐..유튜브에서 받은 음원만 사용할 경우 상관없겠지만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음원은 그닥 마음에 들지 않았다...ㅋㅋ) 유튜브(YouTube)에서 권장하는 볼륨 레벨은?유튜브에..
우리집 컴은 사진편집용이라 나름 pc사양이 좋은편인데다빈치리졸브에서 몇가지 효과를 넣었다하면 프리뷰화면이 그렇게 버벅거릴 수가 없당 프리미어의 경우 일정구간 바(Bar)를 잡아두어 엔터를 누르면 랜더링이 되어 영상 버벅거림 현상을 줄일 수 있었는데, 다빈치리졸브에서는 그런 기능이 없는걸까? 다빈치리졸브에서 랜더링 기능 활용하기1. 실시간 랜더링 기능경로 : Playback>Render Cache>Smart 이 기능을 사용하게되면 실시간으로 랜더링이 되는데빨간색이었던 부분이 파란색으로 변경되며 랜더링되는걸 볼 수 있었다.다만 영상 소스가 변경될때마다 다시 랜더링이 되기때문에 그때 발생되는 랜더링 소요시간은 감안해서 사용해야했다. 2. 클립 별 랜더링 시키기1) 우 클릭 > New Compound Cli..
내가 다빈치리졸브를 선택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색감조정의 용이함이었다. (신랑의 추천이 가장 크긴 했다ㅎㅎ) 야외에서 찍은 영상의 아쉬웠던 점은 눈으로 본 색감 그대로 카메라가 담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물론 풍경을 볼때 나의 감정도 섞여 실제 다가오는 색감보다 극대화 될 수도 있지만, 내 영상을 보는 제 3자에게도 같은 느낌을 주고싶어 내가 기억하는 그 색감으로 조정하고싶은 욕심이 있었다. 다빈치리졸브의 경우 편집할 영상클립을 선택하여 하단에 있는 Color를 클릭하여 조정하면 되었다. 클릭을 하면 나름 전문적인 화면으로 전환이 된다. 화면 하단 왼쪽의 Dark/Shadow/Light 등의 수치를 입력하거나 중간 점을 이동하여 조정할 수도 있지만 일일히 조정하긴 참 귀찮아서 중간에 있는 Curves를 ..
다빈치리졸브 단축키 Ctrl+t 영상편집프로그램에서의 화면전환 기능은 잘려나간 영상들을 부드~럽게 이어주어 내 부족한 촬영실력을 포장해주기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요소였당. 다빈치리졸브에서의 화면전환기능은 정말 아주 우연찮게 발견하게 되었다.크기를 변경하고자 습관적으로 누른 Ctrl+t가 편집영상 양 옆으로 Cross Dissolve가 생겨나는 것이었다(유레카!)오호...크기변경은 안되고 이렇게 화면전환기능이 생긴다는고지..?크기 변경하는 단축키를 알아낼 수는 없었지만...편집한 영상의 배치가 끝나고 단축키를 이용해 Dissolve 기능을 넣으니 참 편리했다. 다빈치리졸브 화면전환 기능 접근하기 단축키 없이 사용하려면상단 Effects>Toolbox>Video Transitions>Dissolve에서 선택..